Posts

2020년 11월 장기 투자 결산

Image
Current Portfolio Pie-chart     Results 1. 이번달 총 결산 +4.72%. 투자 시작 (07/01/2020) 부터 이번 달까지 첫달 자본금 기준 노동 수익 제외 총 +2.19%.    Summary 1. 10월 말에 20년 국채 금리가 1.4를 넘었을때 구입한  (x3) 채권 ETF 가 국채 금리가 전반적으로 하락하면서 수익이 났다. 국채 금리가 1.2 정도 되면 조금씩 매도할 계획.  2. 대형주의 꾸준한 상승, 가치주의 폭주가 상상외로 일찍 시작하여 포트폴리오의 성장에 도움이 되었지만, 비중이 크지 않아 크게 도움이 되진 못했다. (그래도 만족스럽다.) 3. 9월달 부터 이어진 달러 강세… 라기 보단 상대적 덜 약세가 이어지면서 금, 은의 하락세가 이어져서 금, 은에서 손실이 발생하였다. 장기적으로 금의 가격은 우상향할 것이라고 판단되므로 아주 조금씩 추가매수 할 계획이다.  4. 지난 달에 단순화한 포트폴리오를 유지하였고, 크게 추가 구매하지도 않았다. 전반적으로 채권의 움직임에 대한 이해와 대비가 되어 있으니 마음이 편하고 하루하루 변화에 별로 신경쓰지 않게 되어서 참 좋았다. 5. 중국 ETF 들 가격이 많이 상승하면서 포트폴리오에서 중국 비중이 많이 상승하여 목표비중에 가까워졌다.  6. 대선 이후 미국 large cap ETF, small cap value ETF의 비중을 높일 계획이었지만, 생각보다 (언제나처럼) 너무 빨리 랠리가 시작되면서 small cap ETF 의 비중을 생각보다 올리지 못했다.  Plan for next month 1. 지난달에 말한 것처럼 포트폴리오 비중은 장기적으로 미국 large cap ETF 25%, small cap ETF 10%, 중국 ETF 25%, 채권 25%, 금, 은 5%, REITS 5%, 현금 5% 정도로 맞출 예정. 현재 포트폴리오를 비추어 보면 여기서 가장 off 되어 있는 자산은 large cap, small cap ETF 인데 이번달...

2020년 10월 장기 투자 결산

Image
Current Portfolio Pie-chart     Results 1. 이번달 총 결산 -2.7%. 투자 시작 (07/01/2020) 부터 이번 달까지 첫달 자본금 기준 노동 수익 제외 총 -4.48%.    Summary 1. 지난 달에 이어 달러 약세가 주춤해지면서 금, 은의 하락세가 이어졌고, 거기다가 미국 주식들도 모두 조정을 이어가며 전체 포트폴리오 수익률은 조금 더 하락하였다.  2. 지난 달에 비해 아주 많은 변화가 있었는데, 일단 분산투자 포트폴리오를 단순화하였다. 구체적으로 이야기하면 개별 주식들을 모두! 정리했고, 이머징 채권, TIPS 등을 모두 정리했다. 정리한 이유는 그것들 이외에도 상황에 따라 헤지할 만한 분산 투자를 하고 있다고 판단했고, 좀 더 이해가 되는 것들로 포트폴리오를 구성하고 싶었기 때문. 이해가 부족하지만 막연히 이럴때 이렇게 헤지를 해줄거라고 생각했던 것들은 결국 오래 가져가기 어렵다고 판단했다.  3. 또 하나 큰 변화는 10월 말에 20년 국채 금리가 1.4를 넘었을때 (x3) 채권 ETF 를 다량 구매하였고, 구매한 후 채권 금리가 조금 더 올라 구매한 채권 가격이 조금 하락하였다. 장기적으로 채권은 아주 매력적인 투자처이고, 채권은 버블이 없기 때문에 가장 확실한 투자처이기도 하다. 기준 금리가 0에 가까워 져서 먹을게 없다고들 하지만, 채권의 기본 개념 (convexity, duration 등) 을 이해하면 그렇지 않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채권은 앞으로도 꾸준히 공부할 계획이고, 채권은 분산투자 + 리밸랜싱만 하는 것이 아니라 금리, 거시 경제 지표 등에 따라 조금 액티브하게 투자할 계획. 채권은 전체 자산의 25-30% 정도 가져갈 계획이다.  4. 중국 개별주들을 다 정리하고, 몇가지 중국 ETF 로 간소화 하였고 비중도 야금야금 많이 늘렸다. 중국 비중은 22-25%까지 올릴 계획.  4. 드디어 인버스 ETF...

내가 참고하는 위험 지표들 (중국, EM)

ICE BofA Emerging Market High Yield Index Option-Adjusted Spread China ETF VIX China Shibor rate http://www.shibor.org/shibor/web/html/index_e.html   중국 inflation

내가 참고하는 위험 지표들 (미국)

ICE BofA US High Yield Index Option-Adjusted Spread https://fred.stlouisfed.org/series/BAMLH0A0HYM2 https://indices.theice.com high yield 채권 이자와 국채 이자를 뺀 수치. 쉽게 말해 이 spread 벌어진다는건 신용이 낮은 회사들이 돈을 더 빌리기 힘들어져서 (망할까봐) 더 높은 이자를 주어야 돈을 빌릴 수 있다는 뜻. 단기적인 시장의 흐름을 보는데 매우 중요한 수치.     S&P U.S. High Yield Corporate Bond Energy Index https://www.spglobal.com/spdji/en/indices/fixed-income/sp-us-high-yield-corporate-bond-energy-index/#overview   US VIX index  https://www.investing.com/indices/volatility-s-p-500 10-Year Treasury Constant Maturity Minus 2-Year Treasury Constant Maturity https://fred.stlouisfed.org/series/T10Y2Y 장단기 금리 역전시 평균 1년정도 후에 경기침체가 오곤 했다. 장기적인 시장의 거시적 흐름을 볼때 유용한 정보.    Factset 12개월 S&P500 FWD EPS (earnings per share) www.factset.com/earninginsight  또는 구글에서 factset earnings report 검색. SP500 기업들이 주가대비 이익 1년 예측치와 현재 주가를 비교해주는 그래프. 원래는 블룸버그에서 돈주고 사야 하는 것 같은데 현재 공개가 되고 있다. M1 percent change at seasonally adjusted annual rates  https://fred.stlouisfed...

2020년 9월 장기 투자 결산

Image
Current Portfolio Pie-chart     Results 1. 이번달 총 결산 -3.1%. 투자 시작 (07/01/2020) 부터 이번 달까지 첫달 자본금 기준 노동 수익 제외 총 -1.2%.  2. 지난달에 많이 올랐던 금, 은 ETF 가 마이너스 수익의 주된 이유. 비중을 늘렸던 은이 진짜 무참하게 털렸고, 비중을 줄였지만 여전히 많은 채권도 많이 하락하였다. 전체적으로 변동성이 많고 조정장 성격의 한달이었던 것 같다.     Summary 1. Inverse ETF 는 이번달 중순 조정이 왔을때 조금 비중을 줄였다가, 월말에 다시 조금 비중을 늘렸다. 인버스 비중을 늘릴 때 조금 차분하지 못한 상태에서 늘렸음을 고백한다. 결국 장중에는 매매를 최대한 하지 않는 원칙을 지켜야 한다.  2. 결과론이지만, 지난달에 샀던 풋옵션을 두달짜리로 했었다면 다 만기가 되서 날리지 않고 수익을 냈을 것 같다. 니콜라도 마찬가지. 니콜라 공매를 몇주 해보고 느낀건, 공매를 하려면 브로커한테 돈을 빌려서 해야 하고, 거기서 이자가 매일 나가며, 그 압박이 만만치 않다는 것. 공매를 해놓고 기다리는건 엄청난 인내를 요한다. 니콜라 공매 포지션도 그 난리가 있기 일주일 전에 그냥 청산했는데, 결국 방향은 얼추 생각할 수도 있지만 그 타이밍은 알수가 없고, 알려고 해서도 안된다.  3. 9월 중순 조정이 왔던 때 초반에 미국 주식 비중을 더 줄이고 현금 비중을 많이 늘렸다. 앞으로는 개별 주식은 최대한 자제하고 대부분 ETF 만 할 계획.  4. 번스타인 책에서 배운 대로 small cap value ETF 들을 조금씩 사기 시작했다. 비중을 얼만큼 늘릴지는 아직 미정.    Plan for next month 1. HY spread 가 벌어지고 있고, 대선을 앞둔 상황에서 변동성이 증가하는 상황이라 미국 주식 비중은 아직은 늘리지 않을 계획이다....

2020년 8월 장기 투자 결산

Image
Current portfolio pie-chart       Results 1. 이번달 총 결산 -1.6% 2. 지난달에 많이 올랐던 채권이랑 Inverse ETF, 날린 풋옵션들이 마이너스 수익의 주된 이유. 그 외에도 출렁임이 아주 많았던 한달이었다.    Summary 1. 지난달에는 초짜주제에 뭔가 잘되서 자신만만 했던 것 같은데, 투자는 어려운 것이라는 것을 진짜 뼈저리게 느꼈다. 결론은 어떠한 예측도 불가능하고, 시도조차 해선 안된다는 것. 내 지식은 진짜 너무나 얇다. 2. 채권에 대한 지식이 전혀 없는 상태로 겁없이 장기 채권에 현금을 많이 쌓아 두었었다. 장기 채권은 제로금리 상황에서 가격이 내릴 일이 없을 줄 알았는데, 그게 전혀 아니었다. 정부가 YCC 를 하지 않는 한 정부는 기준 금리 조정을 통해 초단기 금리만 조절할 수 있다. 그 기준 금리를 바탕으로 1년, 10년, 15년, 30년 국채, 우량 회사채, 정크 회사채들의 금리가 결정이 되는 것은 맞지만, 기준금리에서 멀어질 수록 금리의 변동 폭은 높아지며, 영향을 미치는 요소들이 많아진다. 예를 들면 8월 중순, 재무부에서 장기 채권을 엄청나게 발행하니, 채권 이자가 높아져 채권 가격이 많이 떨어졌다. 이건 부끄럽지만 나의 짧은 지식으로는 전혀 예상하지 못했던 부분. 금값도 환율만으로 조정되는게 아니다.  2. 연습 삼아 (+ 단기 미래를 예측하고 싶은 자만심에) 소량 구매했던 풋옵션은 다 만기되어 날렸다. 좋은 수업료가 되었다고 믿는다.  3. 지난 달에 계획했던 것보다 비율 조정을 더 많이 했다. (고백하건대 백프로 계획했던 데로 한건 아니고, 많은 고민 없이 내린 즉흥적인 결정도 많이 있었다.) 그 결과 금, 은 가격 조정이 있을때 귀금속의 비율을 좀 올려서 이제 16.5%가 되었고, 미국 주식도 비율을 조금 올려서 15.7% 정도가 되었다. 그리고 틈날 때마다 중국 주식을 ETF 중심으로 조금씩 모으는 중. 무엇보다 장기채 비율을 많이 줄이고, 현금 비중을...

[책] 투자의 네기둥 The Four Pillars of Investing

투자의 네기둥 The Four Pillars of Investing: Lessons for Building a Winning Portfolio: 윌리엄 번스타인   평점: 9/10  감상: 처음으로 읽은 투자 관련 책. 이 책을 고른 이유는 여러가지가 있는데, 첫번째로 내가 즐겨 읽는 김동주님 블로그에서 ‘인생 투자서’ 라고 극찬을 하셔서 관심을 가지게 되었고 ( https://blog.naver.com/mynameisdj/221738944561 ) 두번째로 이분이 Neurologist 로써 의사의 눈으로 투자를 바라보는게 흥미로워서 였다. 결과적으로 나도 단테님처럼 이 책을 나의 인생 투자서로 꼽지 않을까 싶다. 지금 내 수준에 가장 맞는 이야기를 조목조목 조리있게 풀어가는 것이 너무 좋았고, 채권의 역사와 의미에 대한 이야기, 투자의 역사, 이론, 심리 그리고 전략에 대한 이야기가 잘 녹아있어서 너무 재미있고 흥미진진하게 읽었다.  이 책을 통해 분산 투자의 중요성을 다시 한번 느끼게 되었고, 그 분산 투자라는게 종목 뿐 아니라 분야, 시점, 지역, 종류 등 다양한 분산투자를 의미함을 배웠다.  내 무릎을 탁 치게 했던 부분중 하나는 투자 수익률은 결국 평균에 회귀하는 모습을 보인다는 것. 이건 투자에서 정말 중요한 부분인데, 인간의 본성과 역행하는 부분이기 때문에 더더욱 중요하고 잊을때마다 마음을 다잡아야 한다. 이러한 이유로 지난 10년, 20년 데이터에 집착하는 것은 매우 위험하고, 5년 수익률이 높은 펀드나 ETF 에 투자하는 것은 위험하며, 성장주에 올인하는 것은 위험하고, 지난 10년동안 잘나갔던 나라에 몰빵하는 것은 (예를 들면 미국) 위험하다. 그런 위험을 분산해야 한다.    또 흥미로웠던 부분은 버블은 어떻게 이루어지며 이런 조짐을 알려주는 경고를 어떻게 알수 있는가를 기술한 부분. 이 책에 따르면 버블인지 아닌지 판단하는데 도움을 주는 요소들은 다음과 같다.  1. 기술 혁신과 새로운 금융 수단 같은 ‘변위 요인 (di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