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osts

2021년 1월 장기 투자 결산

Image
Current Portfolio Pie-chart       Results 1. 이번달 총 결산 -2.38%. 투자 시작 (07/01/2020) 부터 이번 달까지 첫달 자본금 기준 노동 수익 제외 총 +1.23%, 올해 연간 수익률 -2.38%.   Summary 1. 이제껏 해왔던 것과는 달리 Fed 가 장기 국채 금리 상단을 조절 하지 않으면서 40% 가까이 보유하고 있는 TMF 에서 손해가 많이 발생하였다. 그리고 고심끝에 중간에 조금 올랐을때 포지션의 일부 (전체 자산의 10% 정도…) 를 현금화하였다. 그 이유는 일단 버티는게 원칙이지만 큰 조정이 오지 않는 다면 채권 금리는 조금씩 오를 가능성이 높고, 그렇게 되면 손해가 너무 커질 것 같다는 판단이 들었기 때문.  2. 이번달에는 sub investing account 를 파서 총 자산의 10퍼센트 정도를 목표로 개별주 투자 계좌를 개설하고, 미국 주식을 한 2.5% 정도 매수하였다. 아직 크게 어떻게 하겠다는 계획은 없고, 조금 더 고민을 해 볼 예정.  3. 너무 변동성이 큰 장세가 지속되는 것 같아서 노동 수익을 모아 현금 비율을 14% 까지 올렸다.  4. 지금이 버블이 생기고 있는건 맞는데, 버블이 몇년을 갈지, 그동안 나는 어떻게 해야 할지 고민이 너무 많이 된다. 가장 고민이 되는 부분은 버블이 계속, 몇년동안 커지고 나는 그 버블을 지켜만 보고 있게 되면 마음이 많이 불안 할 것 같아서. 일단 지금까지 결론은 버블은 몇년이 되었든 꺼지고, 꺼지는 정도는 아무도 모르고, 그 후에 내가 어떻게 하는지가 지금 어떻게 하느냐보다 훨씬 더 중요하다는 것. 지금 버블에 합류하지 못하는 부분에 대해 초조할 것이 전혀 없다 다짐 또 다짐.    Plan for next month 1. 포트폴리오 비중은 1분기에는 일단 미국 large cap ETF 10%, small cap ETF 5%...

2020년 연말 결산

Results 1. 올해 투자 시작 (07/01/2020) 부터 이번 달까지 첫달 자본금 기준 노동 수익 제외 총 +5.04%. 전혀 손대지 못하고 매달 넣기만 했던 403K 은퇴 계좌는 +23%. 대단한 성과는 아니지만 매우 만족스럽다.    Summary 1. 올해 가장 큰 수확은 무엇보다도 투자에 관심을 처음 가지게 되었다는 점, 그리고 관심이 생긴 후 비교적 빠른 시간에 공부하고 투자를 시작을 했다는 것. 돌이켜 보면 작년 1월에 로빈후드 계좌를 처음 열어봤고, 처음으로 스타벅스 주식을 몇주 사봤다가 3월 12일 (주식 시장 저점) 에 판 것이 계기였다. 그 후 한푼이라도 더 주는 savings account 를 찾아 헤매이다가, 단테님을 우연히 알게 되고, 덕분에 자산 배분 투자에 대해 알게 된 후, 번스타인 님의 책들을 읽고 난 후 정말 모든게 변했다.  2. 투자를 시작 하고 난 후 정말 많은 것들을 배웠다.  3. 미친 주식 시장에 다들 엄청난 수익률을 자랑하지만, 난 소소하지만 잃지 않는 투자를 했음에 만족한다.    Plan for next year 1. Keep it simple.  2. Don’t loose money.  3. Don’t look at the chart every day.  4. 포트폴리오 비중은 미국 large cap ETF 20%, small cap ETF 10%, 중국 ETF 30%, 채권 (or TIPS) 5%, 개별주 5%, 금, 은 15%, REITS 5%, 현금 15% 정도로 맞출 예정.

2020년 12월 장기 투자 결산

Image
Current Portfolio Pie-chart     Results 1. 이번달 총 결산 +1.85%. 투자 시작 (07/01/2020) 부터 이번 달까지 첫달 자본금 기준 노동 수익 제외 총 +5.04%.    Summary 1. 이제껏 해왔던 것과는 달리 Fed 가 장기 국채 금리 상단을 조절 하지 않으면서 40% 가까이 보유하고 있는 TMF 에서 손해가 조금 발생하였다. 확정적 이라고 생각했던 채권조차 예측이 안되는 것을 실감하며, 시장을 예측하려고 하면 안되고 단기수익을 추구하면 더 안된다는 것을 다시금 느꼈다.  2. 이번달에는 매도는 전혀 하지 않았고, 금리가 너무 올랐다고 판단이 되었을 때 TMF 만 추가 매수하였다. (장기채 금리가 이렇게 올라갈 수 없다고 너무 확신에 차 있었음을 고백한다.) 3. 금, 은 가격이 너무 많이 빠졌다는 생각이 들어서 조금씩 비중을 늘리고 싶었는데 현금이 별로 없어서 하지 못했고, 역시 금, 은 가격이 많이 올랐다. 교훈은 현금은 항상 가지고 있어야 한다는 점.  4. 중국 주식도 많이 출렁일 때 조금 더 사고 싶었는데 역시 현금이 부족해서 못샀다. 이럴 때일수록 현금을 적절히 보유해야 한다.   Plan for next month 1. 포트폴리오 비중은 1분기에 미국 large cap ETF 20%?, small cap ETF 10%, 중국 ETF 30%, 채권 10%, 개별주 5%, 금, 은 15%, REITS 5%, 현금 10% 정도로 맞출 예정. 다만 large cap 을 언제 어떻게 살지, 아님 그냥 계속 볼지 도저히 모르겠다. 

Zoom 인터뷰 전 (제발) 숙지하시면 좋을 것들 (단기 처방전 버전)

안녕하세요. 레지던트 지원하신 선생님들, 이제 한창 인터뷰 준비하시고, 인터뷰 하시고 계시겠네요. 최근에 기회가 있어서 한국 선생님들 인터뷰 준비하시는 것을 보고, 또 미국 지원자들도 인터뷰 할 기회가 있었는데, 너무나 기본적인 것들을 한국 선생님들께서 잘 모르시는 것들이 있는 것 같아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었으면 하는 바람으로 오랜만에 짧게 글을 올립니다. 인터뷰 6개월 - 1년 전에 알고 있으면 좋을 것들도 쓰려 했는데, 당장 인터뷰 하시는 선생님들께는 도움이 안될 것 같아 그건 기회가 되는데로 따로 올리겠습니다.    1. 눈을 보고 말해요.  한국에서는 교수님들이나 어른들의 눈을 보고 말하면 혼납니다. 어디 건방지게 눈을 똑바로 쳐다보고 말하냐고. 미국에서는 반대입니다. 눈을 보고 말하지 않으면 진실되지 않고, 숨기는게 많으며 자신감이 없다고 생각합니다. 이렇게 말씀드리면 대부분의 선생님들이 비슷한 변명을 하십니다. 컴퓨터 카메라랑 화면에 인터뷰이 눈이랑 같은데 있지 않는데 어떻게 하냐고. 포인트는 카메라에 눈을 맞추냐 화면에 눈을 맞추냐가 아니라 이야기 도중 주변을 보고 바닥을 보고 눈을 보는 것 같다가도 회피하지 말아야 한다는 겁니다. 한국에선 그게 예의이기 때문에 따로 주의를 기울이지 않으면 사람들은 눈을 지속적으로 뚫어지게 보고 이야기하지 못합니다. 이건 인터뷰 때 뿐만 아니라 미국에서 살면서 대화할때에도 적용 되는 부분입니다.    2. 금지 단어 토종 한국 선생님들이 아주 많이 쓰시는 단어/표현 들이 몇개 있는데요, 대표적으로 So, Actually, 그리고 I think 가 있습니다. 먼저 선생님들은 기본적으로 선생님의 생각을 말씀하시는 것이기 때문에 I think 라고 문장을 시작할 필요가 (대부분) 없습니다.또 저희같은 토종 선생님들은 문장과 문장, 문장 내에서의 끊어읽기가 연습이 안되어 있고, 공백이 어색하게 느껴지기 때문에 so, actually 라는 말로 문장을 시작을 하고, 이어가시는 경향이 있는데 그러면 영어가 서투른게...

2020년 11월 장기 투자 결산

Image
Current Portfolio Pie-chart     Results 1. 이번달 총 결산 +4.72%. 투자 시작 (07/01/2020) 부터 이번 달까지 첫달 자본금 기준 노동 수익 제외 총 +2.19%.    Summary 1. 10월 말에 20년 국채 금리가 1.4를 넘었을때 구입한  (x3) 채권 ETF 가 국채 금리가 전반적으로 하락하면서 수익이 났다. 국채 금리가 1.2 정도 되면 조금씩 매도할 계획.  2. 대형주의 꾸준한 상승, 가치주의 폭주가 상상외로 일찍 시작하여 포트폴리오의 성장에 도움이 되었지만, 비중이 크지 않아 크게 도움이 되진 못했다. (그래도 만족스럽다.) 3. 9월달 부터 이어진 달러 강세… 라기 보단 상대적 덜 약세가 이어지면서 금, 은의 하락세가 이어져서 금, 은에서 손실이 발생하였다. 장기적으로 금의 가격은 우상향할 것이라고 판단되므로 아주 조금씩 추가매수 할 계획이다.  4. 지난 달에 단순화한 포트폴리오를 유지하였고, 크게 추가 구매하지도 않았다. 전반적으로 채권의 움직임에 대한 이해와 대비가 되어 있으니 마음이 편하고 하루하루 변화에 별로 신경쓰지 않게 되어서 참 좋았다. 5. 중국 ETF 들 가격이 많이 상승하면서 포트폴리오에서 중국 비중이 많이 상승하여 목표비중에 가까워졌다.  6. 대선 이후 미국 large cap ETF, small cap value ETF의 비중을 높일 계획이었지만, 생각보다 (언제나처럼) 너무 빨리 랠리가 시작되면서 small cap ETF 의 비중을 생각보다 올리지 못했다.  Plan for next month 1. 지난달에 말한 것처럼 포트폴리오 비중은 장기적으로 미국 large cap ETF 25%, small cap ETF 10%, 중국 ETF 25%, 채권 25%, 금, 은 5%, REITS 5%, 현금 5% 정도로 맞출 예정. 현재 포트폴리오를 비추어 보면 여기서 가장 off 되어 있는 자산은 large cap, small cap ETF 인데 이번달...

2020년 10월 장기 투자 결산

Image
Current Portfolio Pie-chart     Results 1. 이번달 총 결산 -2.7%. 투자 시작 (07/01/2020) 부터 이번 달까지 첫달 자본금 기준 노동 수익 제외 총 -4.48%.    Summary 1. 지난 달에 이어 달러 약세가 주춤해지면서 금, 은의 하락세가 이어졌고, 거기다가 미국 주식들도 모두 조정을 이어가며 전체 포트폴리오 수익률은 조금 더 하락하였다.  2. 지난 달에 비해 아주 많은 변화가 있었는데, 일단 분산투자 포트폴리오를 단순화하였다. 구체적으로 이야기하면 개별 주식들을 모두! 정리했고, 이머징 채권, TIPS 등을 모두 정리했다. 정리한 이유는 그것들 이외에도 상황에 따라 헤지할 만한 분산 투자를 하고 있다고 판단했고, 좀 더 이해가 되는 것들로 포트폴리오를 구성하고 싶었기 때문. 이해가 부족하지만 막연히 이럴때 이렇게 헤지를 해줄거라고 생각했던 것들은 결국 오래 가져가기 어렵다고 판단했다.  3. 또 하나 큰 변화는 10월 말에 20년 국채 금리가 1.4를 넘었을때 (x3) 채권 ETF 를 다량 구매하였고, 구매한 후 채권 금리가 조금 더 올라 구매한 채권 가격이 조금 하락하였다. 장기적으로 채권은 아주 매력적인 투자처이고, 채권은 버블이 없기 때문에 가장 확실한 투자처이기도 하다. 기준 금리가 0에 가까워 져서 먹을게 없다고들 하지만, 채권의 기본 개념 (convexity, duration 등) 을 이해하면 그렇지 않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채권은 앞으로도 꾸준히 공부할 계획이고, 채권은 분산투자 + 리밸랜싱만 하는 것이 아니라 금리, 거시 경제 지표 등에 따라 조금 액티브하게 투자할 계획. 채권은 전체 자산의 25-30% 정도 가져갈 계획이다.  4. 중국 개별주들을 다 정리하고, 몇가지 중국 ETF 로 간소화 하였고 비중도 야금야금 많이 늘렸다. 중국 비중은 22-25%까지 올릴 계획.  4. 드디어 인버스 ETF...

내가 참고하는 위험 지표들 (중국, EM)

ICE BofA Emerging Market High Yield Index Option-Adjusted Spread China ETF VIX China Shibor rate http://www.shibor.org/shibor/web/html/index_e.html   중국 infl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