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자의 네기둥 The Four Pillars of Investing: Lessons for Building a Winning Portfolio: 윌리엄 번스타인 평점: 9/10 감상: 처음으로 읽은 투자 관련 책. 이 책을 고른 이유는 여러가지가 있는데, 첫번째로 내가 즐겨 읽는 김동주님 블로그에서 ‘인생 투자서’ 라고 극찬을 하셔서 관심을 가지게 되었고 ( https://blog.naver.com/mynameisdj/221738944561 ) 두번째로 이분이 Neurologist 로써 의사의 눈으로 투자를 바라보는게 흥미로워서 였다. 결과적으로 나도 단테님처럼 이 책을 나의 인생 투자서로 꼽지 않을까 싶다. 지금 내 수준에 가장 맞는 이야기를 조목조목 조리있게 풀어가는 것이 너무 좋았고, 채권의 역사와 의미에 대한 이야기, 투자의 역사, 이론, 심리 그리고 전략에 대한 이야기가 잘 녹아있어서 너무 재미있고 흥미진진하게 읽었다. 이 책을 통해 분산 투자의 중요성을 다시 한번 느끼게 되었고, 그 분산 투자라는게 종목 뿐 아니라 분야, 시점, 지역, 종류 등 다양한 분산투자를 의미함을 배웠다. 내 무릎을 탁 치게 했던 부분중 하나는 투자 수익률은 결국 평균에 회귀하는 모습을 보인다는 것. 이건 투자에서 정말 중요한 부분인데, 인간의 본성과 역행하는 부분이기 때문에 더더욱 중요하고 잊을때마다 마음을 다잡아야 한다. 이러한 이유로 지난 10년, 20년 데이터에 집착하는 것은 매우 위험하고, 5년 수익률이 높은 펀드나 ETF 에 투자하는 것은 위험하며, 성장주에 올인하는 것은 위험하고, 지난 10년동안 잘나갔던 나라에 몰빵하는 것은 (예를 들면 미국) 위험하다. 그런 위험을 분산해야 한다. 또 흥미로웠던 부분은 버블은 어떻게 이루어지며 이런 조짐을 알려주는 경고를 어떻게 알수 있는가를 기술한 부분. 이 책에 따르면 버블인지 아닌지 판단하는데 도움을 주는 요소들은 다음과 같다. 1. 기술 혁신과 새로운 금융 수단 같은 ‘변위 요인 (dis...
Current portfolio pie-chart Results 1. 이번달 총 결산 -1.6% 2. 지난달에 많이 올랐던 채권이랑 Inverse ETF, 날린 풋옵션들이 마이너스 수익의 주된 이유. 그 외에도 출렁임이 아주 많았던 한달이었다. Summary 1. 지난달에는 초짜주제에 뭔가 잘되서 자신만만 했던 것 같은데, 투자는 어려운 것이라는 것을 진짜 뼈저리게 느꼈다. 결론은 어떠한 예측도 불가능하고, 시도조차 해선 안된다는 것. 내 지식은 진짜 너무나 얇다. 2. 채권에 대한 지식이 전혀 없는 상태로 겁없이 장기 채권에 현금을 많이 쌓아 두었었다. 장기 채권은 제로금리 상황에서 가격이 내릴 일이 없을 줄 알았는데, 그게 전혀 아니었다. 정부가 YCC 를 하지 않는 한 정부는 기준 금리 조정을 통해 초단기 금리만 조절할 수 있다. 그 기준 금리를 바탕으로 1년, 10년, 15년, 30년 국채, 우량 회사채, 정크 회사채들의 금리가 결정이 되는 것은 맞지만, 기준금리에서 멀어질 수록 금리의 변동 폭은 높아지며, 영향을 미치는 요소들이 많아진다. 예를 들면 8월 중순, 재무부에서 장기 채권을 엄청나게 발행하니, 채권 이자가 높아져 채권 가격이 많이 떨어졌다. 이건 부끄럽지만 나의 짧은 지식으로는 전혀 예상하지 못했던 부분. 금값도 환율만으로 조정되는게 아니다. 2. 연습 삼아 (+ 단기 미래를 예측하고 싶은 자만심에) 소량 구매했던 풋옵션은 다 만기되어 날렸다. 좋은 수업료가 되었다고 믿는다. 3. 지난 달에 계획했던 것보다 비율 조정을 더 많이 했다. (고백하건대 백프로 계획했던 데로 한건 아니고, 많은 고민 없이 내린 즉흥적인 결정도 많이 있었다.) 그 결과 금, 은 가격 조정이 있을때 귀금속의 비율을 좀 올려서 이제 16.5%가 되었고, 미국 주식도 비율을 조금 올려서 15.7% 정도가 되었다. 그리고 틈날 때마다 중국 주식을 ETF 중심으로 조금씩 모으는 중. 무엇보다 장기채 비율을 많이 줄이고, 현금 비중을...
아래 지표들은 단기적인 흐름보다는 장기적인 흐름을 파악할때 도움이 된다. 단기적인 흐름은 예측할 수도 없고, 예측하려 해서도 안된다. 미국 Yield curve https://www.treasury.gov/resource-center/data-chart-center/interest-rates/pages/textview.aspx?data=yield 미국 국채 금리 (1년, 10년, 30년) U.S Dollar index (DXY) https://www.marketwatch.com/investing/index/dxy 달러가 강세인지, 약세인지를 볼때 유용한 지표. Australian Dollar/Swiss Franc (AUD/CHF) ratio https://www.marketwatch.com/investing/currency/audchf 세계 시장 안정기조일때는 비율이 올라가고, 불안정할때는 비율이 내려가는 경향을 보인다. 역시 장기적인 흐름을 볼때만 유용. USA inflation source: tradingeconomics.com 10 year breakeven inflation rate (inflation) and effective federal funds rate https://www.investing.com/economic-calendar/interest-rate-decision-168 10 year BEI = 미국 10년 국채 - TIPS 결국 TIPS 가 경기를 반영한다. U.S. Unemployment Rate https://www.investing.com/economic-calendar/unemployment-rate-30 https://tradingeconomics.com/united-states/unemployment-rate United States Initial Jobless Claims https://tradingeconomics.com/unite...
Comments
Post a Comment